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크랩] 유치원 선생님 연령의 허와 실

참여마당

by 연꽃천국 2018. 2. 24. 21:42

본문

유치원 선생님 연령의 허와 실


유치원이란 말만 들어도 산뜻한 느낌, 상큼한 레몬차를 한 잔 들이킨 기분이다.

통통튀는 축구공 같은 느낌, 지칠 줄 모르는 에너지, 그러면서 언제 깨질지 모르는 유리잔 같은 아이, 봄바람같은 기분, 여름이 지나기도 전에 한입 먹어보는 풋사과의 그맛이라고나 할까?


뭐라고 한마디로 정의 내리기 어려운 존재임은 분명하다.


그럼면서도 쏟아져나오는 생각들

터져나오는 말들

빨아들이는 강력한 흡입력의 뇌!


그들에게는 이럿듯 말로 다 표현 할 수 없는 많은 것을 담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 무한한 기능을 내포하고 있는 브레인이다.


그런 그들을 교육한다는 것은 그다지 쉽지 않다. 알고 나면 그다지 어렵지 않은 것이 그들을 교육하는 것이다.


그 선생님들은 얼마나 많은 능력의 소유자인지 !

가끔 만나서 수다를 떨다 보면 가슴이 시큰둥아려온다.


얼마정도의 시간이 흘렀을까?

짧은 세월이기도 하고 긴 세월이기도한 세월이다.


그런데 그 느낌은 묵은지, 시래기, 장조림 같은 말을 연상케했다.

유치원 선생님은 나이가 어려야 한다. 그들과 소통을 하려면 연륜이 있으면 소통이 되지 않는다. 는 말이다.


여기서 잠깐 소통이란 본래의 의미가 무엇일까?

굳이 저자가 언급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사회에 갓입문한 새내기가 교육을 한다는 것은 지식을 전달 하는 것인지 노하우를 전달 하는 것인지?


유치원과 소통한다는 것은

유치원생에게 지식을 전달 하는 소통인지?

외모에서 느껴지는 느낌을 소통한다는 것인지?

그들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수단을 말하는 것인지?

어떤 주제를 두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가져야하는 의미를 말하는 것인지?

이 때 사용해야하는 소통이란 어떤의미였을까 를 고민하게 하는 말이 었다.


추측하건데 이 글을 적고 있는 저자는 분위기 이미지 느낌에서 오는 소통을 말하는 것이 아니었을까를 감히 말한다.


어린아이와 노인과 소통을 한다는 것은 그들을 잘 이해하고, 그들과의 이야기에서 알아 들을 수 있는 그 무엇이지 않을까?

유치원생에게 지식으로 소통한다는 것이 대관절 어느정도지식을 말하는 것일까?

우리 나라 제도권 교육에서 고등학교 이상을 졸업한 평범한 사람이 유치원생을 교육하지 못할 정도의 얄팍한 지식을 가진 사람이 과연 몇명이나 될까?


그럼 여기서 유치원생을 교육하는 선생님의 자릴로서 연령을 구분하자면 사회 초년생이 능숙할까?

아이를 키워본 연륜이 있는 사람이 능숙할까

유치원생을 지도하면서 소통이란 이미지에서오는 소통일까?

능숙하고 노련함에서 오는 소통일까?


요즘 매스콤에서 자주 대두되는 유치원·어린이집 폭행사건이 있다. 과연 그들의 연령이 비율적으로 따져 본다면 어린 사람이 많을까? 연륜이 있는 사람이 많을까?

 

지금 언급하고자 하는 것은 오늘의 화두와 어긋난 듯한 감은 있지만 여러분에 한번 여쭤보고싶다.


유치원·어린이집 문제 중 급식과 관련된 사건이 가끔 발생한다. 그 사건의 전모의 연령을 비교하자면 누가 더 많을까?

과연 그들은 폭행을 한 것인지? 개인의 이익을 위한 것인지? 화두를 던져본다.


그럼  여기서 말하는 두 사건의 전모는 이익의 관계에서 운영자의 입장에서 일어나는 것과 폭행에서 일어나는 사건의 연령은 다르다는 것을 말하자는 것이다.


이 쯤해서 다시 화두를 던져본다.

유치원생과 소통을 한다는 것은

1. 이미지 2. 지식 3. 연륜  4. 노련미 5. 많은 경험 6. 7.  더 많은 보기를 만들 수 있지만 오늘은 이정도로 해보자


그럼 여러분의 생각에 여기에 정답에 가까운 보기가 있다고 생각하시는 지요.

있다면 몇번이라고 생각되시는 지요.


교육의 가치관에 따라 달라 지겠지만 유치원 교육에서는 지덕체의 교육이 겸비된 사회성 및 인성이 먼저가 아닐까 요.


그럼 왜 초등학교 1,2학년 담임 선생님은 40대 50대 선생님이 주를 이루는 것일까요?


유치원 선생님은 젊어야 한다.

청소년선생님은 젊어야 한다는 규준은 도대체 어디서 만들어졌으며 누가 만드는 것일까?

그럼왜 외국의 경우 유치원선생님은 ***연령이상이어야 가능하다는 나라가 있을까요?


그럼 유치원 선생님의 연령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어는 연령층일까요?


마직막으로 한마디 남기자면 유치원생의 교육은 놀아주는 것이 아닙니다. 전인교육이라는 말이 수반되는 위에서 언급된 교육이어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싶습니다.


출처 : 북&무비 토킹클럽
글쓴이 : 연꽃천국 원글보기
메모 :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