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가 없는 아줌마야! 제발..... 좀!
영양가가 없다는 말을 언제 사용할까?
1. 어디에 영양가를 찾아야 한다는 것
2. 식품에서
3. 인맥에서
4. 명예에서
5. 일에서
6. 권력에서
7. 돈에서
8. 친구에게서
9. 어디에 목적을 두고 행하느냐에 따라 영양가가 있다 없다는 구분하게 된다.
지금하고 있는 일에 상황에서 영양가가 있느냐 없느냐 !
어디에 목적을 두고 이야기를 하느냐이다.
오늘은 그 목적을 봉사에 화두를 두었다.
봉사라 ...
사람들은 다들 경제적 여유가 있어야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봉사를 하시는 분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Q 왜 봉사를 하게되셨습니까?
A 시간이 많아서 뭘 해야 할지 몰라서 입니다.
A 40평생 직장다니다 보니 제가 직장에서 했던 일 외에 할수 있는 일이 없더라구요 직장에서 일하던 것과 관련된 봉사를 선택해서 하게되었습니다.
<결국봉사자가 잘하는 것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A 주부 30단에 자식 다 키우고 나니 내가 뭘 할까를 고민하게 되더라구요 지금 내상황에서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오게되었습니다. 배식봉사를 합니다.
A 등등
A 넘치는 에너지를 어디에 사용할 까요? 집에 있기는 힘들고 밖에서 에너지 소진을 해야 가화만사성 이겠지요.
A 여유시간에 할수 있는 것을 찾다보니 지금이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A 좋아하는 일이라 하게되었습니다.
A 내 일을 하면서 할 수 있는 일이라 선택했네요.
<사연도 가지가지 선택도 다양하다.>
나는 어떻게 하여 봉사를 하게 되었을까?
고민을 하게 하는 날
Q 어떻게 봉사를 하게되셨습니까?
A 누군가에게 줄 수 있다는 것은 마음의 여유인것 같네요.
내가 봉사를 하게 된 것 은 .....?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고 싶어서 뭘 잘 할 수 있는 지 알고 싶어서 하게 되었습니다.
ㅎㅎ 한 바탕 웃음이 나왔다.
그래서 봉사를 하시면서 잘 할 수 있는 일을 찾으셨나요.
네 !
그런데 거시기 좀 힘이 들어요.
뭐가 힘들다는 거지요.
봉사를 했고 하고 있고 해야지 하고 결정하였습니다.
그리고 내가 할 수 있는 일도 찾았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마음도 몸도 준비가 되어 시작하려고 하니 경제적 여건이 어려워져서 일을 해야지 뭔니까?
그래서일했지 뭔미까?
근데 자꾸만 봉사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머리속에서 떠나지를 않습니다.
그래서 봉사를 시작했는데 먹고 사는걸 걱정해야하는 이 상황에 내가 좋다고 하고싶다고 봉사를 하고 있어가꼬 될 일인지 말입니다. 지금도 하고 있으면서 고민을 하고 있고 돈도 벌어야 한다는 건 생계를 걱정 해야 한다는 것 역시 머리를 떠나지 않는데 돈도 벌고 봉사도 할 수 있는 일이 없을까를 생가하게 하는 날.
그런데 말입니다.
저를 훤히 알고 있는 그 사람이 말입니다.
이 정신없는 아줌마야 제발 봉사가 밥먹여주나 새끼들 생각해서 가정을 지키고 생산적인일을 하라고 난리지 뭔미까?
그 말을 듣고 보니 또 고민을 하게 하지 뭔미까?
생산적일이 뭠니까?
그 사람이 생각하는 생산적일은 아마도 돈을 벌어서 좀 풍요롭게 살아야 안되겄나이고
내가 생각하는 생산적인 일은 봉사도 하고 일도 하는 것 그리고 그사람이 말하는 돈은 벌어진 상태에 내 상황에 맞게 살면 되는 거 아닙니까 말입니다.
한 바탕 웃음이 나왔다.
정답이 없는 이 일을 누가 맞다고 말을 할 수 있었던가?
정답을 알고 싶다. 찾고 싶다. 알켜주고 싶다.
뭐가 정답입니까 말입니다.
정답, 정답, 정답,
삶에 정답이 있었던가
부모가 되는데 자격증이 있어야 했던가?
이 영양가 없는 아줌마는 이렇게 말을 남겼다.
제발 영양가 없는 아줌마야 오늘도 영양가(돈안되는 일) 없는 짓을 했구나!
왜 그리사노 ......(스마일)
이 영야가 없는 아줌마야 제발 돈이 되는 일을 찾아열정을 쏟아라 그 많은 열정을 왜 헛되이 사용하는냐!
헛되이 ... 슬프다 내가 하고 있는 영양가 없는 일(돈이 안되는 일)이 헛되다고 누가 말 할 수 있는가?
감사합니다. 라는 말을 듣고 가슴이 허해지는 이 상황이 헛된 일이었는지
첫발을 내딛은 지금 고민이라는 숙제가 가슴에 안긴다.
영양가 없는 아줌마야 정신차리라! 제발 좀, 에서 오늘로 마무리한다.
[스크랩] 선배는 이렇게 해서 합격했대요 (0) | 2016.04.21 |
---|---|
[스크랩] 학생부전형은 장거리 달리기…`요령` 알고 뛰세요 (0) | 2016.04.16 |
[스크랩] 고전 100권만 읽고 토론하는 이상한 대학 (0) | 2016.03.30 |
[스크랩] 좋은 글을쓰는 10가지 방법 (0) | 2016.03.29 |
[스크랩] 책 읽어주는 기기, 유아 언어 발달 큰 도움 안 돼 (0) | 2016.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