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빠꿀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자신밖에 없다.
ㅌㅌ타인의 싫은점은 자신의 내면이다.
가장 좋은 부모는 좋은 친구이다.
모든 인간은 부족한존재이다.
본문중에서
공감한다는 말이 부족하였다. 뭐라고 표현하는 것이 적당할까를 고민한 끝에
처절하게 공감한다는 말이 떠올랐다.
다른 사람을 바꾸려고 하기전에 내 자신이 변해야 하고
싫은 친구를 바라보면서 나의 내면이구나!를 생각하면서 자신을 뒤돌아 보았고,
가장 좋은 부모는 좋은친구라는 말에 늦둥이 태어아 부모라는 말보다 형제애를 먼저 떠올리게 되었다.
모든 인간은 부족하다는 말에 공감한다는 말이 아까워 공감한다는 말을 할 수가 없었다. 떨림과 전율의 순간 그렇구나!를 속으로 되내이게 되었다.
부족한 인간의 내면과 외면을 함께어루져서 서로를 위하는 것이 관계속에 완성되어가는 인간의 본연의 모습일 것이다는 생각!
그러나 오늘날 우리의 모습은 어떠한가?
.
.
.
!
1부 자기 알기
정신분석은 두 번째 연금술입니다|문제도, 해결책도 내부에 있습니다|사랑과 지지를 통해 자아를 강화합니다| 타인의 싫은 점은 자신의 내면입니다|유년기의 생존법을 버려야 합니다|억압된 내면의 감정을 표현합니다|선한 나와 추악한 나를 통합합니다|내면의 부모 목소리를 지워냅니다|내면 환상을 벗고 외부 현실을 봅니다|죽을 때까지 사는 법을 배웁니다
2부 가족 관계
엄마와 딸은 근원적 갈등 관계입니다|아버지와 아들은 신화적 살해 관계입니다|형제자매는 시기하고 질투하는 관계입니다|유독한 부모, 역기능 가정이 존재합니다|자기 삶의 목소리, 천복을 따릅니다|주도적으로 자립적인 삶을 이끌어갑니다|‘이상적인 남편’의 환상을 요구하지 않습니다|중독성은 중독성끼리 의존합니다|여성이 변화한 만큼 남성도 달라져야 합니다|애도 과정을 잘 넘기면 정서가 풍성해집니다
3부 성과 사랑
사랑은 또 하나의 연금술입니다|사랑에는 책임과 의무가 따릅니다 |사랑할 때 내면의 불안감이 되살아납니다|연인에게서 ‘이상적인 아버지’의 모습을 봅니다|피학적이고 고통스러운 것은 사랑이 아닙니다|가학적이고 잔인한 사랑은 자신을 파괴합니다|이별해도 좋은 것은 모두 내면에 있습니다|이별할 때 상대방의 자기애를 존중합니다|성 불능은 정체성의 빈틈과 관련됩니다|욕망은 본질적으로 충족될 수 없습니다|남녀의 성적 욕망은 성격이 다릅니다|성폭행은 정체성 해체와 관련됩니다
4부 관계 맺기
자신의 못나고 부족한 면을 사랑합니다 |내면의 분노는 삶을 정체시킵니다|생존 욕망과 죽음 욕망은 한몸입니다|받은 분노를 그대로 내면에 담아둡니다 |누구의 내면에나 불안한 아이가 있습니다|감사하는 마음이 시기심을 낳습니다|나르시시즘은 유아적 전능감의 연장입니다|여성도 ‘아버지의 이름’에 복종합니다|작은 성취감이 쌓여 자신감이 커집니다|거절해도 사랑받을 수 있는 존재입니다|승-승 관계를 맺기 위해 노력합니다|중년의 문턱에서 생의 목표를 수정합니다
문제의 원인이나 해결책뿐 아니라 모든 좋은 것도 저마다의 내부에 있습니다. 인정, 지지, 사랑, 행복, 즐거움 등을 스스로 향유하고 타인과 나눌 수 있는 역량이 우리 모두의 내면에 있습니다. 이제는 그것들을 외부에서 받으려고 기대할 게 아니라 스스로에게 베풀어야 합니다. 자신의 욕망을 잘 이해하고, 스스로의 노력으로 그것을 적절하게 충족시켜주어야 합니다. --- p.28
치유의 핵심은 ‘직면하기’에 있습니다. 상사의 모습이 곧 아버지의 모습이며 또한 자신의 모습이라는 사실을 바로 보고 인정할 수 있을 때 심리적 문제의 많은 부분이 해결됩니다. 내면과 직면하여 자신의 부정적인 측면을 인정하게 되면 마음의 힘이 강해지는 것도 느끼게 됩니다. 그러면 자신의 내면을 외부로 투사하는 행위는 자연스럽게 사라지고 사람들에게서 같은 모습을 보더라도 더 이상 감정적인 불편을 느끼지 않게 됩니다. --- p.41
정신분석학은 늘 지금 이곳을 강조합니다. 내면에 가득 찬 왜곡된 과거를 비우고, 미래에 대한 장밋빛 환상도 벗고, 현실의 삶을 직시하고 수용하게 합니다. 이상적인 연인을 찾아 떠돌기보다는 현재의 관계를 안정되고 풍요롭게 가꾸어야 한다.
[스크랩] 내가 제일 커 (0) | 2018.03.20 |
---|---|
[스크랩] 파랑새 놓아주기 (0) | 2018.01.12 |
[스크랩] 관점을 디자인 하라 (0) | 2018.01.09 |
[스크랩] 시시 때때로 써본 글<본문 중에서> 어쩌다 (0) | 2018.01.08 |
[스크랩] 멈추지 마 다시 꿈 부터 써봐 (0) | 2017.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