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폐지하고, 덕성여대․한국산업기술대 새롭게 실시!
올해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치르게 될 2018학년도 대입전형에서 논술고사는 서강대․연세대․한양대 등 29개 대학이 실시한다. 이들 29개 대학이 논술고사를 전형 요소로 활용하여 선발하는 전체 모집 인원은 13,120명으로 2017학년도에 14,861명(주요 사항 기준 모집 이원)을 선발하는 것보다 1,741명이 줄어든다. 그렇다고 모든 대학이 논술고사로 선발하는 인원을 줄이지는 않았다.
가톨릭대․건국대(서울)․서울여대․세종대․연세대 등은 2017학년도와 동일한 모집 인원으로 선발하고, 울산대․중앙대․한국외대․한양대(에리카)는 오히려 모집 인원을 각각 4명, 26명, 110명, 35명을 더 늘려 선발한다. 하지만, 나머지 논술고사 실시 대학들은 2017학년도보다 모집 인원을 줄여서 선발한다. 모집 인원을 가장 많이 줄인 대학은 인하대로 2017학년도보다 295명을 줄인 564명을 선발한다.
한편, 실시 대학을 보면 2017학년도에 논술고사를 실시했던 고려대가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변경하였고, 덕성여대와 한국산업기술대가 새롭게 실시한다.
모집 인원이 줄어든 만큼 2018학년도 대입전형에서 논술고사를 실시하는 대학들의 지원 경쟁은 조금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시 말해 지원 경쟁률이 예년보다 조금 올라갈 것이다. 이에 수시 모집에서 논술고사로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좀 더 일찍 논술고사를 체계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
논술고사 반영 비율은 덕성여대와 서울시립대 1단계가 100%로 가장 높게 반영하고, 이어 연세대(서울) 87.1%, 경북대․서강대 80%, 경희대․부산대․서울과학기술대․서울여대․연세대(원주)․이화여대․인하대․한국외대․한양대 70%, 나머지 대학들은 60%로 반영한다. 이 중 서울시립대는 1단계에서 논술고사로 모집 정원의 4배수를 선발한 다음 2단계에서 논술고사 60% + 학생부 40%로 선발하는 단계별 전형을 실시한다. 하지만 나머지 대학들은 모두 일괄합산 전형으로 논술고사와 학생부 성적으로 선발한다. 즉, 앞서 언급한 논술고사 반영 비율을 제외한 비율만큼 학생부 성적을 반영한다.
논술고사 반영 비율이 대학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긴 하지만, 이들 대학은 논술고사가 합격의 당락을 좌우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만, 많은 대학이 수능시험 성적을 최저 학력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수능시험 대비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예를 들면 연세대(서울)의 경우 인문계 모집단위는 국어, 수학 ‘나’형(또는 ‘가’형), 사회/과학탐구 영역의 등급 합이 7 이내이면서 영어 2등급, 한국사 3등급 이내이어야 하고, 의예과와 치의예과는 국어, 수학 ‘가’형, 과학탐구 영역 중 3개 영역 이상 1등급이면서 영어 2등급, 한국사 4등급 이내이어야 하며, 기타 자연계 모집단위는 국어, 수학 ‘가’형, 과학탐구 영역의 등급 합이 8 이내이면서 영어 2등급, 한국사 4등급 이내이어야 한다.
그런데 간혹 학생부와 수능시험 성적이 좋지 않아 논술고사로 대학에 진학하겠다는 수험생들이 있는데, 이는 극히 잘못된 지원 전략이 될 수도 있다. 만약 수능시험 최저 학력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 건국대(서울)․경기대․광운대․단국대(죽전)․서울과학기술대․서울시립대․한국항공대․한양대(서울) 등 수능시험 최저 학력 기준을 적영하지 않는 대학으로의 지원을 고려한다면 몰라도. 그러나 이들 대학을 중심으로 논술고사를 대비해서 100% 합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없다면 논술고사와 수능시험은 반드시 함께 대비해야 한다. 이것이 올바른 논술고사 대비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논술고사와 함께 반영하는 학생부의 반영 교과목과 반영 방법, 교과 성적의 등급 간 점수 차 등도 미리 살펴봤으면 한다. 혹시 학생부 성적 때문에 불이익을 받는 부분이 생길 수 있다면, 앞으로 치르게 될 학년․학기별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통해 이를 만회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논술고사의 왕도는 희망 대학의 기출 문제와 출제 경향 등을 꼼꼼히 살펴보고, 매주 일정 시간을 정해 계획적으로 꾸준히 논술 문항을 써 보고 첨삭을 받아보는 것이다.
[스크랩] 12월, 비교과 활동을 기록하라 (0) | 2016.12.16 |
---|---|
[스크랩] 자기소개서 4번 문항에 따라 효과적인 ‘자기소개서’ 구성이 달라진다 (0) | 2016.09.02 |
[스크랩] 실패한 경험은 어떻게 써야 하는가? (0) | 2016.09.01 |
[스크랩] 초등 방학숙제 이야기 (0) | 2016.08.24 |
[스크랩] 자소서의 5대 원칙 (0) | 2016.08.24 |